본문 바로가기

책 리뷰34

[책] 업사이클링. 기억에 남는 순간 part 1 - 송희구 작가님 사소한 루틴을 10년간 지키면 벌어지는 일 # 좋아하는 것 # 잘하는 것 # 몰두 보통은 사이드업이 성공하면 사이드업을 본업을 전향을 하는데 작가님은 여전히 회사를 다닌다고 한다. 1. "저는 회사를 다니면서도 하고 싶은 일이 있다면 할 수 있다고 생각해요. 어떻게 보면 스스로 압박을 하는 거죠 시간을 더 쪼개서 시도하는 거니까요." 내가 회사를 다니는 이유 중 하나가 이거였다. 꼭 회사만 가면 자기 계발이나 다른 것을 하고 싶어 진다. 이것저것 해보고 싶은 생각이 든다. 그래서 시간을 쪼개 새벽에 일어나기도 하고 퇴근하고 나서는 자기 계발에 시간을 쓴다. 본업과 사이드업을 겸한다면 이러한 장점이 있다. 시간을 좀 더 효율적으로 그리고 밀도 있게 사용하게 된다. 2. "요즘 2030 세대가 더 스마트해졌.. 2022. 12. 19.
[YouTube] 하와이 대저택. "(5분 컷!) 고개를 들어라ㅣ하루 5분으로 갓생 살기 EP37" 슈퍼히어로들은 존재하지 않는다. 때로는 영웅적으로 때로는 평범하게 살아가는 걸 반복하는 사람들이 존재할 뿐이다. '완벽함'이란 사실 존재하지 않는다. 존경하거나 멋진 사람을 보거나 굉장한 기술 또는 제품이 나왔을 때 완벽하다고 느끼는 건 '완벽한 면'을 보았을 뿐이다. 하지만 그 존재는 우리가 완벽이라 생각한 면을 완벽이라 생각 안 할 수도 있다. 결국 완벽은 어디에도 없다. 그럼에도 우리는 완벽에 가까워지지 못하는 우리의 모습과 주변의 상황을 생각하며 불안해하고 우울해한다. '전혀 그럴 필요 없다.' 완벽이란 단어를 재정의 하자면 이렇다. '그냥 하루하루 계속해 나아가는 것' 그 하루하루들이 모여 내가 원하고 목표하는 게 이뤄지고 굉장한 걸 해내는 거다. 아무도 쳐다보지 않는다고 해서 스스로 사라지지 .. 2022. 12. 18.
[YouTube] 하와이 대저택. "당신은 사실 바쁘지 않다ㅣ하루 5분으로 갓생 살기 EP38" 시간이 없다? 산업혁명으로 노동자들이 일주일에 80시간을 죽도록 일해야 했던 시대에도 어떤 노동자들은 동료들과 선술집을 가지 않고 문학 작품을 읽거나 정치 활동을 하는데 썼다. '시간이 없다' 표현을 자주 쓴다. 출근하는 직장인, 수능을 준비하는 고3, 과제에 치이는 대학생 모두 이 표현을 자주 쓴다. 나도 이 표현을 많이 썼다. 때로는 여기에 더해 '하루가 48시간이었으면 좋겠다.' 생각도 하기도 했다. 하지만 시간은 공평하게 주어진 자원이다. 나만 시간 없고 바쁜 게 아니다. 그렇다면 차이는 어디서 발생하는 걸까? 시간이 없다는 말은 사실 '개인적으로 자유롭게 쓸 수 있는 시간이 아주 조금 있다.' 여기서 차이가 발생한다. 이 조금 있는 시간을 어떻게 쓰느냐에 달렸다. Immersion vs Conc.. 2022. 12. 18.
[YouTube] 하와이 대저택. "(5분 컷!) '원한다' 말고 '되었다'고 말하라ㅣ하루 5분으로 갓생 살기 EP36" 우리의 행동은 대부분 암시의 결과다. 재밌는 예시가 있는데 스스로 '카페인은 몸에 해로우니까 자제해야지' 마음먹고 나서 저녁을 먹으러 레스토랑에 갔을 때 종업원이 '커피는 지금 드릴까요 아니면 나중에 드릴까요?'라고 한다면 이 질문은 나는 커피를 원하는 것은 기정사실이라고 가정한 것이다. 그래서 우리는 언제 커피를 마실지에 집중해서 결국 커피를 마시게 된다는 것이다. 만약 '커피 안 마실 거죠?'라고 물었다면 커피를 원하지 않는 것이 가정되어있어 안 마신다고 할 것이다. 우리는 줄곧 듣는 말이 있다. 부모님, 가족, 친구들, 학교 선생님, 교수님, 직장 동료, 가까운 지인들로부터. 이들로부터 조금씩, 계속, 지속적으로 들어왔던 말들은 우리가 인식하지 못하는 사이에 우리의 무의식에 각인되어 있다. 이걸 바.. 2022. 12. 18.
[YouTube] 하와이 대저택. "(마지막 영상) 그냥 이것만 보시면 됩니다. 무의식 바꾸기 EP03" 이 방법들을 통해서 단 한 분이라도 더 여러분 삶에서 단 1%라도 바뀔 수 있다면. 이전 영상에서 다룬 끌어당김의 법칙 4가지 소리 내어 말하기 손으로 쓰기 상상으로 시각화하기 감사하기 + 목표한 것 을 적고 한 번 읽어보기 + 1. "1000번씩 90일 동안 말하기" 이 방법은 다른 것보다 어렵다. 한 번에 끝내기도 하고, 나눠서 진행하기도 했다. 이 방법의 궁극적인 목표는 이 방법을 습관화해서 우리들의 무의식에 각인시키기 위함. 90일은 의학적, 심리학적으로 검증된 숫자이다. 사람은 21일이라는 기간 동안 심리적으로 적응을 한다는 연구논문이 있다. 이 기간 동안 뇌 속 여러 기관을 거쳐 "습관"을 담당하는 뇌간까지 가는 최소한의 시간이라고 한다. 안 하던걸 하게 되면 강한 저항을 하는 이유는 실제로 .. 2022. 12. 15.
[책] 요즘 애들에게 팝니다. 기억에 남는 순간들 part 3 한정판 나만의 개성을 상징하고 표현해줄 수 있는 희소성 있는 브랜드나 제품이 뭔지 알기 힘들었다. 그래서 자연스레 명품을 찾게 되었다. 하지만 이제는 브랜드가 제품을 한정판으로 출시해 희소성을 높이고 있다. 한정판 마케팅으로 '소장'경쟁이 치열해졌다. 왜 그들은 한정판에 열광할까? 그들은 공급은 한정돼 있고 수요는 많으니 응모 방식은 당연한 것이라 생각한다. 즉 선착순이 아니라 추첨 형식이어서 공정하다고 생각한다. 왜 그들은 공정에 가중치를 둘까? 그들은 저성장 고령화 사회에 진입한 세대다. 태어날 때부터 페널티를 안고 시작했다. 당장에 취업문도 예전보다 훨씬 좁아졌고 온몸으로 치열한 경쟁을 해왔기에, 낙하산이나 불공정한 요소들로 기회가 박탈되는 데 상당히 민감하게 반응한다. 다르게 얘기하면 공정해야만 .. 2022. 12. 15.
728x90